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흔히 알려져 있는 자소서 작성법에 대해 기술해 보려 합니다. 많은 전문 강사들이 자소서를 쓸 때 STAR기법을 추천합니다. 자신만의 개성이 있기에 천편일률적인 자소서 작성을 경계해야 하지만 STAR기법과 같은 경우 기본 중 기본이기에 여러분들도 적극 숙지하고 활용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먼저 STAR기법은

S(Situation), T(Task), A(Action Plan or Attitude), R(Result) 입니다. 보통 자기소개서를 작성 할 때 무슨 말부터 써야 할지 잘 모르기 때문에 위 방법을 참고하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서 동아리 회원 모집을 한다 했을 때

S : 동아리 운영진일 때, 동아리 회원을 모집했는데도 불구하고 모집률이 저조했다.

T : 동아리 존속, 성장을 위해 모집률을 높이고자 원인을 조사함. 학술동아리의 특성상 비치는 고리타분한 이미지가 부진한 모집의 원인이었음. 따분해 보이는 동아리 이미지에 변화를 줄 필요성을 느낌.

A : 동아리가 본연의 목적인 학술활동에도 열심이지만 그 밖 동아리원들간 친목과 재미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함을 홍보함, 동아리 모집 부스에 작년 1년 동안 한 다양한 학술, 친목 활동 사진을 부착.

R : 그 결과 일주일간 00명이었던 동아리 모집 인원이 N명으로 늘어났음.

 



이런 식으로 작성 하는 것입니다. 물론 STAR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무조건 정답이라고 할 순 없습니다. 하지만 STAR기법을 활용한다 해서 개인 글의 독창성이 훼손 되진 않으며 자소서를 효율적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여러 기업에 지원해야 하는 공채 때 이 방법을 활용하면 유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