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권 관련주 종류 및 주목해야 하는 이유.
[ 탄소배출권 관련주 ]

탄소배출권이란?
지구온난화 유발 및 이를 가중시키는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로,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의미적으로 할당 범위 내에서 온실가스를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남거나 부족한 배출권은 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다.
탄소배출권 관련주
1. 휴켐스(069260)


1) 시가총액: 9,831억원
2) 사업 종류: 정밀화학 제품
3) 기업 개요
2007년, 2013년에 온실가스 저감시설을 설치 및 추가하여 탄소배출권 사업을 지속하고 있는 회사. 감축규모는 연간 160만 톤 규모. 회사의 전체적 매출은 감소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꾸준히 이익을 내며 부채비율을 개선 시키고 있음.
2. KC코트렐(119650)


1) 시가총액: 1482억원.
2) 사업 종류: 가스처리 등 환경오염 방지사업, 친환경에너지 사업.
3) 기업개요
친환경에너지사업, 환경오염 방지사업 등 환경, 에너지 관련 산업분야에 주력하는 회사이다. 특히 분진처리사업의 경우 대한민국 내수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 집진설비 등 대기질과 관련된 환경오염 방지시설을 지어서 탄소배출권을 확보한 회사)
3. 한솔홈데코(025750)


1) 시가총액: 1,889억원
2) 사업종류: 종합건축자제
3) 기업개요
한솔그룹의 계열사 중 하나. 주로 종합건축자재를 만드는 회사이며 국내 최초로 해외조림사업에 진출해 탄소배출권을 확보하였습니다. 하지만 현재 현재 당기순이익을 창출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당장 투자를 하기엔 리스크가 높은 회사입니다. 하지만 미래가치가 주목되는 회사로써 계속 주시해볼 필요는 있습니다.
※ 해외조림사업: 조림지(목재 생산을 위해 조성한 숲)에서 발생하는 산림탄소배출권 거래.
4. 에코프로(086520)


1) 시가총액: 1조 4,049억원.
2) 사업종류: 전지사업, 환경사업
3) 기업개요
1988.10 기업 설립 이후 주로 대기오염 방지 및 사후처리 부문 환경사업과 2차전지 사업을 주 사업으로 하고 있다. 환경사업의 환경소재 및 응용제품 사업과 2차전지사업의 리튬이차전지 부문에 집중되어 있다.
5. 그린케미칼(083420)


1) 시가총액: 3,888억원
2) 사업종류: 친환경 정밀화학 제조
3) 기업개요
그린케미칼은 유기화학제품, 화공약품 제조 및 판매를 영위할 목적으로 03년 1월 1일 설립된 회사이다. 그린케미칼은 에톡시레이트, 에탄올아민, 디메칠카보네이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신규 사업인 AM에선 20,000(M/T)/년 규모의 생산능력을 갖추면서 국내 제2위의 생산능력을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소재로 생산하는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전환기술을 개발 중입니다.
6. 켐트로스(220260)


1) 시가총액: 2,207억
2) 사업종류: 화학제품 제조
3) 기업개요
06년 3월 설립된 회사. 화학제품 제조업을 영위하며 IT소재, 의약소재, 폴리머 소재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에틸린 카보네이트로 전환하는 CCU 기술인 '에틸렌 카보네이트 합성용 고효율 불균일제 촉매 상용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2차전지 전해액 핵심 첨가제를 국산화 하고 고분자수소연료전지 핵심소재 국산화를 진행 중인 등 수소 및 전기차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탄소배출권 관련주 , 주목해야 하는 이유.

우리가 탄소배출권 관련주 에 주목해야하는 이유는. 문재인 대통령의 2050 탄소중립 사회 비전과 관련 있습니다. 올해와 작년 세계의 가장 큰 이슈 및 위협은 COVID19 였지만 장기적으로 대한민국을 넘어 인류의 최대 도전과제는 기후변화 대응입니다.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탄소중립 목표를 속속 발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나라도 2050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장기저탄소발전전략'을 올해 마련했고. 2030년 감축 목표도 상향할 거라고 발표 했습니다. 중단기 목표설정을 통해 장기적으로 2050년 까지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때문에 탄소배출권 관련 주들이 주목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